
request 스코프는 웹 스코프 중 하나로 HTTP 요청이 들어오고 나갈 때까지 유지되는 스코프다. 각각의 HTTP 요청마다 별도의 빈 인스턴스가 생성되고 관리된다. 예제로 Logger를 하나 생각해보자. HTTP 요청마다 id를 부여해 HTTP 요청을 구분하고 싶다. 이때 request 스코프를 이용하면 HTTP 요청을 쉽게 구분할 수 있다. @Component @Scope(value = "request") // 이 빈은 http 요청 당 하나씩 생성 & http 끝나는 시점에 소멸 public class MyLogger { private String uuid; private String requestURL; public void setRequestURL(String requestURL) { this..

앞서서 싱글톤 패턴에 대해 공부했다. https://flowingmooon.tistory.com/20?category=996069 싱글톤 컨테이너 (1) 등장배경, 정의, 주의사항 등장배경 스프링 없이 순수 java 코드로 짜면, DI 컨테이너(이전 게시물 참고)는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낼 때마다 새로운 객체를 만들어서 반환한다. 가령 고객의 트래픽이 초당 100만큼 발생하면 flowingmooon.tistory.com 싱글톤 패턴에 따르면, 스프링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가 생성될 때 등록되고, 스프링 컨테이너가 종료될 때까지 유지된다. 이를 두고 스프링 빈이 싱글톤 스코프를 따른다고 한다. 그렇다면 스프링 빈에 다른 스코프를 부여할 수 있을까? @Scope 어노테이션을 활용하면 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
- Total
- Today
- Yesterday
- c++
- ec2
- 토비
- 템플릿콜백
- 자바스터디
- SOLID
- 서비스추상화
- 김영한
- 데코레이터패턴
- java
- 프록시
- 자바
- BOJ
- 토비의스프링
- 프로그래머스
- 스프링
- 디자인패턴
- OOP
- gracefulshutdown
- 토비의봄TV
- 객체지향
- 메서드레퍼런스
- 코딩테스트
- provider
- AOP
- 예외처리
- 카카오
- 코테
- 프록시패턴
- 백기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