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PS의 Instruction type(==instruction format)은 세 개로 나뉜다. 1. R-type(for Register) op : operation code. 명령어를 구분하는 고유 번호. rs : 1st source register number. rt : 2nd source register number. rd : destination register number. 이 때 register number는 물리적인 register를 가리키는 고유번호이다. 아래 표를 참고하자. shamt : shift amount. sll과 같은 shift 명령어에서 얼만큼 이동할 지를 의미. funct : function code. 간혹 operation code가 동일한 명령어가 있을 때 그들을 구분..
서로 다른 아키텍처끼리의 성능을 비교하려면 적절한 비교 기준(metrics)가 있어야 한다. 대표적으로 쓰이는 기준이 바로 CPU Time이다. performance = 1 / execution time performance(성능)은 어떤 작업을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execution time)의 역수로 정의한다. 한편, 두 개의 cpu 간 성능을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A가 B보다 n배 빠르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performance(A) / performance(B) = n 이는, execution time(B) / execution time(B) = n 과 동치이다. 보통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execution time(=CPU time)으로 표현할 때가 많으니 분자..
- Total
- Today
- Yesterday
- 디자인패턴
- c++
- BOJ
- 토비
- gracefulshutdown
- 자바
- 예외처리
- 프록시
- 자바스터디
- 프록시패턴
- 백기선
- provider
- 카카오
- 서비스추상화
- ec2
- 스프링
- java
- 객체지향
- SOLID
- AOP
- 토비의봄TV
- 데코레이터패턴
- 템플릿콜백
- 코테
- 메서드레퍼런스
- 토비의스프링
- 프로그래머스
- 코딩테스트
- OOP
- 김영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